|
고 위원장은 21일 개인정보위가 한국CPO(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와 공동 개최한 ‘개인정보 정책포럼’ 개회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고 위원장은 “가입자 수 2500만명에 달하는 통신사의 대규모 유출 사고로 국민적 우려가 매우 큰 상황”이라며 “위원회는 정보 유출이 신고된 지난 4월 22일 당일부터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태스크포스(TF)를 만들고 즉시 조사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이날 고 위원장은 “철저하고 엄정한 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면밀히 규명하고 법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제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공공과 민간 전 분야에서 개인정보 안전관리 체계를 근본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국민의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다루는 공공기관·민간기업에서는 개인정보 처리 전 과정의 문제점을 점검·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더 나아가 전사적 차원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위험관리 및 내부통제 체계를 구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용이 아닌 핵심 투자로 인식하고, 조직 내 거버넌스 측면에서 CPO의 역할과 책임을 확고히 하는 시스템 정착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