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2월부터 4월까지 해당 분석시스템을 통해 보이스피싱 조직이 유포한 것으로 분석된 악성 앱 5090건을 포착, 이를 경찰청에 제공했다. 경찰은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의심 고객의 거주지를 직접 방문해 악성 앱을 삭제하고 피해를 예방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2087억 원 상당의 피해를 막은 셈이다.
현재 LG유플러스의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보이스피싱 조직의 활동을 감지하고, 분석 결과를 정기적으로 경찰에 전달하고 있다.
|
보이스피싱 조직이 전화번호를 위장하거나 해외 장비를 활용해 신원을 숨기는 수법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에 따라 표면적인 번호 차단만으로는 범죄 차단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LG유플러스는 시스템 내 솔루션으로 최종 착신번호를 추적해 경찰에 넘기고 있다.
해외 조직이 국내에 설치한 발신번호 변작 중계기(일명 ‘심박스’, SIM Box) 또한 감시 대상이다. LG유플러스는 이 장비를 통해 조작된 패턴을 탐지하고, 해당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IMEI)를 추출해 경찰에 공유함으로써, 범죄 조직 위치 파악 및 통신 차단을 지원하고 있다. 이 결과 지난해에만 약 1만 7천여 건의 불법 통신이 차단된 바 있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CISO/CPO, 전무)은 “보이스피싱 범죄 건수와 피해 금액이 해마다 급증하는 만큼 고객 보호 활동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앞으로도 AI 기반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경찰과의 협업을 확대해 고객이 안심하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