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인공지능 중심의 경제와 시장 및 헬스케어 비즈니스 트렌드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2022년 11월 오픈AI가 공개한 생성형 AI 모델인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Gemini) 및 딥시크(DeepSeek) 등이 등장하면서 전 세계 사람들이 AI를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비즈니스에 활용해야 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오고 있다.
AI 폰, AI PC, AI 검색, AI 비서, AI 화가, AI 로봇 등 AI Agent 서비스가 구현됨에 따라, 글로벌 산업경제 패러다임을 바꿀 게임체인저로 부상한 AI 헬스케어를 직면하게 된 것이다. 글로벌 저성장 탈피와 미래 먹거리 창출 전략 도구 및 새로운 부가가치 생태계로 디지털 헬스케어와 AI 헬스케어 서비스가 성장할 것이다.
2025년 새롭게 출범하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핵심 정책인 ‘STAR GATE’가 디지털 헬스케어 데이터의 ‘수집·생산→저장·관리→가공·유통→분석·활용 과정에서 AI 헬스케어 서비스와 인프라를 구현하는 프로젝트인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으로 부상한 헬스케어 경제의 다양한 이론 및 변화와 이슈를 설명하는 <헬스케어 경제학>이 발간됐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 트렌드 환경에 대응하는 <헬스케어 경제학>은 보건경제, 의료경제, 의료보험경제, 헬스케어 경제, 디지털 헬스케어 경제, AI 디지털 헬스케어 경제 등의 주요 학문과 새롭게 연계 발전하는 융합 학문 체계이다.
구체적으로 헬스케어 경제학의 이론과 주요 특징들이 현실적으로 어떻게 건강과 서비스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연구와 분석 및 사례를 설명했고, 아울러 디지털 혁신으로 발생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경제와 AI 디지털 헬스케어 경제 등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 보건학과 의학 및 헬스케어를 전공하는 대학생과 병원 및 의료기관, 그리고 헬스케어 관련 기업들의 CEO 및 임원과 실무 직원들에게 헬스케어 경제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다양한 지식을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