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이어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100조 규모 투자방안 마련과 세제지원 등 신성장 동력 마련을 통한 잠재성장률 재고 논의도 있었다”며 “국정과제 구체화를 위한 재정의 역할과 지속 가능한 재원의 중요성, 효과적인 정책 과제도 당부했다”고 전했다.
16일 출범해 두달여 기간 새 정부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국정기획위는 18~20일 사흘간 각 부처 업무보고를 받은 후 본격적으로 새 정부의 국정 비전과 정부 조직개편,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등을 수립한다. 첫날 오전에 7개 분과별로 국무조정실·기재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여성가족부·교육부·행정안전부 6개 부처 업무보고를 마쳤다.
국정기획위는 이날 업무보고 후 점심시간을 겸해 이 위원장 주재로 운영위원회를 열고 국정기획분과 산하 2개 전담반(TF), 국정비전TF와 정부조직개편TF도 출범했다.
국정비전 TF는 기획분과위원인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명예교수가 팀장을 맡고 안병진(경희대 교수)·허은아(전 개혁신당 대표) 위원이 팀원으로 참여한다. 정부조직개편 TF는 박홍근 국정기획분과장(민주당 의원)을 팀장으로 조승래 위원(대변인 겸임), 정치행정분과 위원인 윤태범 방송통신대 교수 등이 팀원으로 참여한다.
국정기획위는 이와 함께 앞서 예고한 조세·재정개혁 TF와 함께 시민 정치·행정 참여 TF와 규제 TF도 새로이 구성키로 했다. 참여 민주주의 제도화와 새 정부 규제 철학을 별도 TF에서 논의해 국정 운영을 뒷받침한다는 취지다. 기재부가 세제개편안을 매년 7월 초중순 실무안을 확정해 같은 달 말 확정 발표하는 만큼 새 정부 국정과제를 여기에 최대한 반영하고자 의사결정도 서두르기로 했다.
조 대변인은 “정부의 기본 사이클과 국정기획위 사이클 속도를 맞추기 위해 국정과제 중 빨리 의사결정될 수 있는 것을 정해 신속과제 형태로 정리하기로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