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4대 금융지주(KB·신한·우리·하나) 계열 저축은행 대부분이 지난해 적자를 내며 저축은행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올해 부동산 경기 전망도 밝지 않아 저축은행의 실적 부진이 계속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금융 당국은 저축은행에 대한 충당금·가계대출 규제 방침을 밝혀 업계의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권이 지역과 중·저신용자 대출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저축은행업계는 규제 완화가 먼저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
|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4대 금융지주 저축은행 연간실적은 1116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우리금융저축은행 적자 규모가 859억원으로 가장 컸고 하나저축은행이 322억원, KB저축은행이 11억원 적자를 냈다. 신한저축은행만이 유일하게 179억 흑자를 냈다. 4대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은 일반 저축은행보다 자본력, 경영 투명성, 리스크 관리 역량이 높다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최근 저축은행 업계 전반에 걸친 부실 위험 증가를 피하지 못했다.
저축은행업계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것은 그간 주요 수입원으로 삼아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때문이다. 저축은행업계는 지난 2018년께 부동산 호황을 누리며 PF대출을 공격적으로 늘렸으나 부동산 시장이 하락세로 돌아서자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며 적자의 늪에 빠졌다.
문제는 올해도 부동산 경기 전망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돼 업계의 재기 발판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더해 금융감독원은 최근 PF 고정이하여신(NPL) 충당금 적립비율을 저축은행별로 최소 50% 이상 유지하라고 방침을 내렸다. 이 때문에 저축은행권의 대손비용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부동산 PF 등 기업대출에 집중하던 저축은행은 새로운 활로로 가계대출을 늘리려 했으나 금융당국이 올해부터 저축은행업계의 가계대출 증가율을 관리하겠다고 통보해 이 역시 난항에 빠졌다.
 | (사진=챗gpt) |
|
금융위원회는 다음 달 ‘저축은행 규제개선 및 영업역량 제고를 위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이 지역 서민금융 공급기관으로 본연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제도 개선 방안이다. 예대율 산정 시 민간 중금리 대출 취급액을 일부 차감하는 등 중·저신용자 대출 취급 시 감독상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저축은행업계는 이보다 그간 요구해 온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금융당국이 규제하는 인수합병(M&A)과 영업 구역 내 의무 여신비율 완화가 핵심이다. 또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라 저축은행은 영업 구역 내 개인과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총대출 대비 수도권은 50% 이상, 비수도권은 40% 이상을 유지해야 하는데 업계는 비수도권 대출 비율을 30% 수준으로 낮추거나 비율 산정 대상에서 비대면 거래를 제외하는 방안을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