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업무보고에서 `10년간 4000명, 한해 400명씩 의대 정원을 확대한다는 보도가 사실이냐`는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의대 정원 확대에는 누구나 동의하는 것으로 안다”면서 “증원의 첫 발은 적은 규모로 조심스럽게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의대 정원 확대 문제는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본격화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의료진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앞으로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핵심인 의료 인력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의대 정원 확대를 통해 지역 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 의대 정원은 지난 2006년 이후 14년 간 연 3058명에 묶여있다. 지난 2016년 기준 국내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3명이다. 이 중 한의사를 제외하면 1.9명으로 낮아진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3.4명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회원국 중 최하위다.
변수는 역시 의료계의 반발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의대 정원 확대 추진에 대해 `졸속 강행`이라고 비판하면서 전 회원의 뜻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중이다.
최대집 의협 회장은 “최근 정부는 의대 정원 증원을 통한 의사인력 충원, 공공의대 신설 등을 의료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증원이 아닌 현재의 인력을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며 상대적으로 의사 인력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건강보험 수가를 파격적으로 높이는 방식으로 유인동기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별, 과목별, 근무형태별 자원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정하게 균형 배치하도록 하는 정책을 마련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정부 역시 이러한 의료계 반발을 의식한 듯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 장관은 “추가로 필요한 의사 인력에 대한 여러 연구결과가 다르게 나오고 있고 향후 수요예측도 차이가 있다”며 “현재 정부 내에서 여러 방안을 놓고 논의 중이라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이라고 한 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