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장 전 최고위원과 최 전 부총리의 복당을 승인한 이유는 ‘통합’ 메시지를 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앞서 “과거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탈당 인사들의 복당을 수용하겠다는 메시지를 낸 바 있다.
여기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도 이날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에서 성장하고 정치인으로 잘 발전하던 도중 당에서 안타깝게 떠나거나 본의 아니게 당 밖으로 나간 분들이 있다. 저는 이 모든 분을 포용하겠다”고 밝혔다.
최 전 부총리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에서 탈당 권유를 받았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후 이후 경제부총리 재직 시절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2019년 7월 징역 5년 형이 확정돼 의원직을 상실했고, 선고 당일 탈당했다. 지난 22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경북 경산에 출마했다 낙선했다.
다만 김문수 후보는 이러한 당내 요구에 “대통령 후보가 ‘탈당하십시오, 하지 마십시오’ 이야기하는 건 적절치 않다”며 “(탈당은)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할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윤 전 대통령 측은 당내 탈당 요구에 대해 ‘김문수 후보에 거취를 일임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사실상 자진 탈당은 결단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이날 TV조선 보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 양측 사정을 잘 아는 인사는 윤 대통령이 “필요하면 나를 얼마든지 밟고 가도 좋다”고 말했다며 “거취 등을 포함해 모든 것을 후보에게 일임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 인사는 “지난 11일 김문수 후보 최종 선출 직후 이뤄진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이 이같은 입장을 전한 거로 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