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현지 업계에 따르면 템스워터의 기존 주주들과 채권단은 170억 파운드(약 31조 5157억원) 규모의 대규모 구조조정안을 제시하고, 회사 정상화를 위한 단계적 절차에 착수했다.
템스워터 인수전이 돌연 막을 내린 배경을 알기 위해서는 시간을 약 세 달 전으로 되돌려야 한다. 앞서 템스워터는 미국계 KKR, 홍콩 CK인프라스트럭처, 코발리스 캐피털, 영국 피어스 가문의 수도 공급업체인 캐슬워터 등 글로벌 기업들의 높은 관심 속에 인수 논의를 진행해왔다. 당시 KKR은 약 40억 파운드(약 7조 2000억 원)의 인수가를 비롯해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며 유력 후보로 부상한 바 있다.
실제 템스워터는 1989년 민영화 이후 저금리 환경을 활용해 대규모 차입을 일으켰고, 상당 부분을 주주 배당금으로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상하수도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막혔고, 최근 몇 년간 하수 무단 방류 등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아왔다. 그 사이 템스워터의 부채는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증가했고, 현재 기준 회사가 안고 있는 부채는 190억 파운드(약 34조원)에 달한다. 이에 템스워터 모회사는 지난해 4월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했고,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템스워터의 신용등급을 투자 부적격 등급인 ‘정크’ 수준으로 강등하기도 했다.
기존 주주들 “100% 손실 떠안느니 구조조정이라도”
매각으로 원금 회수에 기대감을 나타냈던 기존 주주들은 결국 구조조정 카드를 꺼내 들었다. 손실을 어느 정도 감수하고 원금 일부라도 건지겠다는 계산이 깔린 움직임이다.
세부적으로 이들이 제시한 구조조정안은 △30억 파운드 규모의 신규 자본 유치 △20억 파운드 이상의 부채성 자금 조달 △수십억 파운드의 기존 부채 탕감을 포함한다. 무엇보다 이번 구조조정안의 핵심 쟁점은 ‘규제 리셋’으로, 기존 주주들과 채권단은 정부에 ‘벌금 집행 유예 및 일부 면책 조치’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반적인 기업 구제책이 아니라 영국 국민의 필수 인프라를 정상화하기 위한 일회성 면책 조치인 만큼, 형평성 잣대를 들이대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들의 입장이다.
현지 업계 한 관계자는 “템스워터의 향후 방향성은 정부과 규제기관, 채권단 간 합의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국유화와 민간 주도의 구조조정안이 여전히 논의되는 상황이지만, 기존 주주들이 요구한 부분이 받아 들여지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들의 요구는 심각한 환경 범죄에 대한 면책이라는 비판을 받기 때문”이라며 “도덕적 해이 우려와 업계 반발이 확산하고 있어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