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롯데손보 측은 콜옵션 행사를 사실상 포기하면서 금감원에 구체적인 자본확충 방법을 마련해 제출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롯데손보가 자본확충 방안을 제출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방안은 유상증자나 롯데손보에서 자금을 모집해 후순위채를 차환하는 방법 등 회사의 선택에 따라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과 롯데손보는 900억원 규모 후순위채권 콜옵션 행사를 두고 첨예하게 대립했다. 금감원이 롯데손보 후순위채 콜옵션 행사 직전인 지난 7일 건전성 우려를 앞세워 이를 저지하고 나선 것이다. 롯데손보는 투자자 보호와 금융시장 안정을 강조하며 콜옵션 행사를 강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금감원이 제재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면서 양측은 팽팽하게 맞섰다.
|
금감원은 이번 콜옵션 행사를 불허하면서 “작년 말 킥스 비율 154.6%는 무·저해지 보험의 해지율에 대해 롯데손보에 유리한 예외모형을 적용한 경우”라면서 “원칙모형을 적용하면 작년 말 기준 비율은 127.4%로 떨어진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특히 금감원에서 롯데손보의 콜옵션 행사 강행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는 등 강하게 압박하면서 롯데손보 측에서도 결국 백기를 들 수밖에 없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 불똥이 롯데손보 대주주인 JKL파트너스에까지 튀면서 롯데손보 입장에서는 금감원과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기 쉽지 않은 분위기가 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롯데손보의 자구 노력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요건만 충족된다면 금감원 입장에서도 콜옵션 행사를 반대할 이유는 없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롯데손보 관계자는 “후순위채 상환 관련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중도상환을 검토했지만 당국의 불승인으로 중도상환 보류를 결정했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자본확충을 실행해 중도 상환 일정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