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관절형 에너지 절삭기를 활용한 배꼽절개 기반 림프절 절제술(Trans-Umbilical Lymphadenectomy Using an Articulating Bipolar Vessel-Sealing Device, 이하 TULAB)이 림프절 전이 위암 환자들에게 큰 희망이 되고 있다.
고대안산병원 위장관외과(상부) 이창민 교수가 고안한 TULAB 은 로봇 수술기에 관절형 에너지 절삭기를 탑재하고 양 옆구리와 배꼽에 3개의 절개창만으로 시행하는 로봇 위암 수술 술기로서, 배꼽을 통해 삽입한 관절형 에너지 절삭기를 통해 림프절을 정밀하게 절제할 수 있다. 이 수술법은 최소 절개로 고난도 수술을 가능하게 해, 수술 부담을 줄이고 회복을 앞당기는 차세대 위암 수술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TULAB의 유효성은 이 교수가 국제학술지 Cancers에 발표한 연구 논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교수는 2020년 5월부터 2023년 8월 사이 고대안산병원에서 TULAB 수술을 받은 위암 환자 42명과 기존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 131명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비교 평가했다. 그 결과, 수술 후 회복 속도와 장폐색 발생률 등 일부 지표에서 TULAB을 받았을 때 더 나은 결과를 보였고, 안전성과 유효성 측면에서도 동등한 수준을 확인했다.
한편, 지난 2020년 이 교수는 3개의 로봇팔만을 이용해 위암 수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며 위암 로봇 수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어 2022년에는 관절형 에너지 절삭기를 탑재한 로봇 수술기 ‘다빈치 Xi’를 위암 수술에 적용한 TULAB 수술 사례를 발표해 한국외과로봇수술학회에서 우수 구연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에는 최신 로봇 수술기 ‘다빈치 SP’를 활용한 TULAB 수술과 단일공 복강경 수술의 효용성을 비교한 연구를 발표, 한국외과로봇수술학회에서 또 한 번 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