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대상포진 환자는 약 75만명으로 대상포진 평생 유병률은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 위험 또한 높아진다.
65세 이상에서는 젊은 연령층에 비해 대상포진 발생률이 8~10배가량 높아지는데, 세포 매개 면역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50세 이상에서 대상포진이 발생하는 비율은 65%에 달했다.
미래본병원 김형석 신경외과 전문의는 “여름이 시작되는 7~8월이 되면 대상포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난다”며 “대상포진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으로도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차단술 등 치료가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며 면역 저하자는 백신 접종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초기에 감기 증세처럼 시작해, 발열과 오한이 있을 수 있고 속이 메스껍고 배가 아프며 설사를 나기도 한다”며 “특징적 증상인 피부 발진은 심한 통증이 먼저 생기고 3~10일이 지난 후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신경통, 디스크, 오십견 등으로 오인하기 쉽다”“고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보통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몸 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걸리게 되면 가벼운 피부발진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간염,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50~60대 이상에서 많이 생겨 노인성 질환으로 인식돼 왔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많은 20~30대까지 젊은층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흉부에 통증이 나타나는 환자 중에는 상처 부위에 옷이 스치는 것조차 괴로워 옷 입기를 두려워하며, 얼굴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중에는 머리카락이나 상처 부위를 건드리면 더욱 통증이 심해져 소스라치게 놀라는 경우도 있다.
◇ 대상포진 발병 시 치료법 어떻게?
대상포진이 발병했을 때 72시간 내에 바로 항바이러스제,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등 약물치료를 해야 바이러스에 의한 신경 손상 정도를 감소시켜 이후 나타날 수 있는 극심한 신경통을 일부 예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주로 신경차단술이나 교감신경치료 등을 진행한다. 신경차단술은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신경절에 직접 약물을 주사해 신경에 나타난 염증을 없애는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물집이 번지거나 터지기 전에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 발병 초기부터 바이러스 치료와 통증 치료를 함께 받으면 최소한 대상포진 치료 후 통증이 계속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 찬바람을 쐬지 않고 목욕 시에는 물집을 부드럽게 닦아주는 게 좋다. 통증이 심할 때는 열습포 방법이 도움이 된다.
이밖에 균형 잡힌 식단으로 식사하는 것이 좋고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해 면역력 저하를 막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 반신욕, 충분한 수분 섭취, 숙면, 햇볕 쬐기를 통한 비타민D 보충 등도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