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후보는 “어제 김종민 의원과 이낙연 후보의 검찰개혁 끝장토론을 봤다. 무슨 이유로 이런 방송을 했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낙연 후보께서 총리와 당대표 시절 검찰개혁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심지어 개혁입법 약속을 저버린 무책임한 태도에 대해 ‘면피해 보겠다’는 속내는 명백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가 김종민 의원과 검찰개혁 과정에서 많이 상의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제 와서 그것이 이낙연 당대표의 뜻이었다고 밝힌 점에 대해서는 대단히 실망스럽고 배신감까지 느낀다”며 “정치를 그렇게까지 해야 하느냐”고 되물었다.
추 후보는 “어제 두 분의 끝장토론은 검찰개혁에 반하는 태도로 곤경에 빠진 후보와 그걸 모면해 보자는 캠프의 알량한 꼼수가 엿보이는 볼썽사나운 ‘면피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며 “자신이 당대표일 때는 미적거리다가, 후보가 되어서는 검찰개혁 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자 참 의아했다”고도 밝혔다.
추 후보는 “저는 검찰개혁 전선에서 한 번도 흔들린 적 없었다...이낙연 대표의 과감한 결정과 개혁 실천을 강력하게 요구했던 장관이었다”며 “이제 와서 비루한 변명보다 더 구차한 사실 왜곡으로 책임을 면피하려 하시느냐”며 이 후보의 검찰개혁 의제 제기가 뒤늦은 면피용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추 후보는 “조국 장관에 이어 제가 검-언-정 카르텔의 무자비한 반격에 맞서 검찰개혁 전선에 섰을 때, 가장 든든하게 뒷받침 해줬어야 할 당 대표께서 과연 몇 번이나 검찰개혁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역설하셨느냐”고 묻기도 했다.
“윤석열의 항명 사태를 ‘추-윤 갈등’이라는 프레임 속에 가두고 장관이 국정운영에 부담을 준다는 태도로 일관하지 않았느냐”는 질문도 나왔다.
추 후보는 “검찰개혁은 지금 당장 하셔야 한다..캠프 소속 의원 전원에게 검찰개혁 입법 촉구 서명을 받고, 그걸 근거로 이재명 후보, 정세균 후보, 김두관 후보, 박용진 후보에게 동참을 요구하셔야 한다”며 “당 지도부에게는 건의가 아니라 확실한 요구와 확답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 후보는 “그동안 이낙연 후보에게 속아만 살아온 제가 진언 드린다”는 말로 글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