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한 1심 판결을 파기하고 원심의 구형량(7년)대로 선고해 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한 것이다.
A씨 측 변호인은 최후변론에서 “피고인은 불상의 협박범으로부터 협박을 받고 과도한 두려움으로 잘못된 선택을 한 것 같다. 잘못을 반성하고 있다”라며 “이 범행은 공동 피고인의 협박에서 비롯됐고, 피고인의 직업과 언론의 관심 때문에 실제 한 행동보다 과도하게 비난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피고인이 실제 관여하지 않았던 범행에 대한 재판이 따로 진행되고 있는 점 등을 양형에 고려해 주시길 바란다”며 “원심판단에 대해 위법함이 없었는지도 밝혀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같은 혐의로 기소된 전직 영화배우 B씨(30·여)의 결심공판은 B씨 측 변호인이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진행되지 않았다.
|
당시 B씨는 A씨가 마약(필로폰)을 투약한 정황이 있고 이씨와도 친하게 지낸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불법 유심(USIM)칩을 이용해 해킹범인 척 A씨를 협박했다. 그러나 A씨로부터 돈을 받지 못하자 2023년 10월 이씨를 직접 협박해 5천만 원을 뜯어낸 혐의로도 기소됐다.
이와 관련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이씨는 2023년 12월 서울 종로구 한 공원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의 사망에 따라 해당 사건은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됐다.
한편 마약 등 전과 6범인 A씨는 이 사건과 별개로 2023년 3차례에 걸쳐 케타민과 필로폰을 수수한 혐의로 기소돼 지난해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