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관련 곽 전 사령관은 12.3 비상계엄 해제 이틀 후인 지난해 12월 6일 부대를 항의방문한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병주·박선원 민주당 의원과 부대 위병소 인근에서 면담을 진행하며 계엄 당시 상황을 설명했고, 이는 김 의원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방송으로 공개됐다.
곽 전 사령관은 “12월 5일 국회 국방위는 취소됐고 12월 6일 김 의원이 특전사를 항의 방문한다고 연락이 와서 12월 6일 오전 사령관 집무실에서 법무실장, 방첩부대장, (김현태) 707특임단장 등과 항의 방문 관련 대화 내용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부대 내부) 논의 시 여야 의원들이 같이 있는 장소에서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당연히 여야 국방위원들께서 함께 계신 장소에서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인터뷰 자리에는 여야 국방위원들이 같이 계신 자리도 아니고 개인(김병주 의원) 유튜브 생방송 자리여서 우선 국회 국방위가 소집되면 자세한 내용을 말씀드리겠다고 했고, 당시 대통령께서 2차 통화 시 하신 (‘아직 의결 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의사당 내 의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는) 말씀은 얘기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곽 전 사령관은 “이후 12월 7일 국회 국방위가 소집돼 서울까지 올라갔다가 국방부로부터 다시 ‘참석하지 말라’고 연락이 와서 (부대로) 복귀했다”고 밝혔다.
그는 아울러 김현태 단장(대령)이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국방위원장과의 면담에서 “김병주 의원이 (항의방문 전인) 12월 5일 곽 전 사령관과의 통화 과정에서 회유를 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통화 시 생방송으로 해야 한다고 해서 ‘그래야 오해가 생기지 않는다’고 했고, 대화 주제 위주로 얘기한 것이 있는데 주제를 정확히 기억하지는 못하겠다”며 “다만 내용이 아니고 주제 위주의 통화가 있었다”고 밝혔다.
곽 전 사령관은 김 대령이 전화통화 시점을 12월 5일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선 “저는 김 의원과 전화통화를 12월 6일 아침에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도 날짜를 확인해 봐야 알 것 같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