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문회의 최대 쟁점은 재산 관련 의혹이다. 김 후보자는 2019년 말 기준으로 총 자산이 마이너스 5억 7701만원였으나 청문회를 앞두곤 재산 1억 5492만원을 신고했다. 5년간 자산 7억 3193만원이 불어난 과정이 석연치 않다는 게 국민의힘 주장이다. 김 후보자는 과거 두 차례 불법 정치자금 수수 사건으로 유죄 선고를 받으며 부과받은 6억 2600만원가량의 추징금도 이 시기에 모두 갚았다.
국회의원 세비 등 공식 수입은 5억원가량임에도 추징금 완납, 자녀 유학비 등 지출은 13억원이어서 8억여원의 자금 출처에 물음표가 붙었다. 김 후보자는 “자녀 유학자금 2억원은 전처가 부담하고, 6억원은 경조사와 출판기념회 등을 통한 소득”이라고 해명했지만 야당은 수입 축소 및 재산 신고 누락 의혹을 집중공략할 태세다.
중국 칭화대 법학 석사 학위 논문에서 탈북자를 ‘반도자’(叛逃者·배반하고 도망간 사람), 도북자(逃北者·북한에서 도망간 사람)로 표현한 건 서울대 총학생회 시절 미국문화원 점거사건에 더해 색깔론 공세 대상이 됐다.
아들이 고교 시절 모의 발의한 교육기본법안과 유사한 법안을 실제로 국회에서 공동발의해 불거진 ‘아빠 찬스’ 논란도 쟁점이다. 이외에도 총리 후보자로선 이례적으로 기자간담회, 부처 업무보고 등 광폭의 공개 행보를 이어온 것에 대해서도 야당은 “벌써 총리된 줄 아느냐”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왔다.
청문회에서도 야당의 공세와 여당의 엄호는 이어질 전망이다. 김 후보자가 야당에서 제기한 의혹을 명쾌하게 소명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신상 관련 의혹이 부각되면서 정책 검증은 뒷전으로 밀렸다는 비판도 나온다. 정부 한 관계자는 “미국발 통상전쟁, 잠재성장률 하락 등 현안이 산적해 있음에도 이에 관한 총리 후보자의 정책 구상은 전혀 관심 받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과반을 차지하고 있어 김 후보자의 국회 인준은 사실상 정해진 수순이란 평가도 있다. 인사권자인 이재명 대통령도 전날 여야 지도부와의 오찬회동에서 “청문회 과정에서 본인의 해명을 지켜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야당이 요구한 김 후보자 지명 철회 뜻이 없음을 내비쳤다. 25일 청문회 후 빠르면 27일 또는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김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 표결이 이뤄질 전망이다. 김 후보자는 국회 인준을 거치면 7월 초 공식 취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