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됐던 해수부 업무보고 다시 진행
조승래 국정기획위 대변인(민주당 의원)은 24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 오후 브리핑에서 “청사를 준공해서 이전하려면 3~4년은 걸리는 만큼 임대 등을 포함한 신속 이전 방안을 보고해달라고 해수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이날 오전 국정기획위(경제2분과)에 지난 20일 중단됐던 업무보고를 다시 진행했다. 국정기획위는 원래 지난 20일 세종에서 다른 부처와 함께 해수부 업무보고를 진행했으나, 국정기획위 위원에게 업무보고 자료를 전달하기도 전에 이 자료가 언론 등을 통해 공개되면서 업무보고가 중단된 바 있다. 유출된 업무보고 자료에는 해수부가 이 대통령의 공약인 부산 이전을 새 정부 임기 중인 2029년까지 진행한다는 내용이 담긴 바 있다.
|
정부 조직개편안 이르면 내일 윤곽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검찰 기능 조정과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정부 조직개편안도 이르면 내일(25일)께 확정 시점 등에 대한 윤곽이 나올 전망이다. 조 대변인은 “박홍근 국정기획분과장이 직접 정부조직개편TF를 맡아 안을 만들고 있다”며 “대통령 공약사항을 우선으로 가능하면 신속히 결론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새 정부 체제를 빨리 갖추려면 정부 조직개편 논의 역시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다. 이재명 정부는 전날(23일) 장관 후보자 12명을 인선했으나 기재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조직개편 대상 부처에 대한 장관 인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조 대변인은 “우선과제에 대해선 소분과 형태로 일종의 축조심의를 하고 있다”며 “오늘과 내일 진행해보면 어느 정도 속도로 결론을 낼 수 있을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 확대도 계속 추진한다. 이 대통령은 정부 R&D 예산 확대 공약을 내걸었으나 내년 예산은 관련법에 따라 이달 말 확정된다. 국정기획위가 예정된 8월 중순까지 새 정부 국정과제를 수립하더라도 내년 R&D 예산에는 이를 반영할 수 없는 것이다.
국정기획위는 이날 R&D 예산 정책 간담회를 열고 이달 말 심의 전까지 새 정부 국정과제와 관련한 R&D 예산 확충을 최대한 담아내기로 했다. 조 대변인은 “오늘 간담회에서 이재명 정부의 대표 공약인 성장기반 구축을 위한 인공지능(AI) 투자 확대와 R&D 예산의 안정적 확대, 청년 과학기술 인력 지원 대폭 확대, 기술 주도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의견 수렴을 진행했다”며 “내년도 예산에 추가 반영을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촉박한 일정으로 반영 못 한 R&D 예산도 추후 내년도 국가 예산안 확정 과정에서 일부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6월 말) 내년도 R&D 예산이 확정되더라도 일부 조정, 증액되기도 한다”며 “주요 R&D(사업 신규 추진)엔 제약이 있겠지만 새 정부 R&D 철학에 맞춰 내년도 예산이 편성되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