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주영 스캐터랩 변호사는 24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서울 강남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사무실에서 주관한 ‘AI 스타트업 간담회’에서 “만약 오픈소스를 등한시한다면(시장 경쟁에서) 계속 뒤처지게 될 것”이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앞서 딥시크는 지난달 자사의 엔지니어링 최적화 기술과 수익성 모델을 공개했다. AI 모델 학습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자원을 소규모로 운용하면서도 수익을 내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특히 GPU 간 통신 효율화, 병렬처리 최적화 등을 통해 같은 자원으로도 성능과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공개했는데, 이 방식으로 순수익이 기존 대비 5.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 변호사는 “오픈소스는 단순히 모델뿐 아니라, 엔지니어링 노하우와 데이터셋까지 담긴 종합 지식체계”라며 “개인정보위를 포함한 여러 정부 부처가 국내 기업들이 이런 오픈소스 기반 기술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신경 써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
임정환 모레 AI사업총괄도 “클로즈드 모델은 자금력과 인프라 자원이 우위에 있는 빅테크에 유리한 구조”라며 “오픈소스는 스타트업에게 유일한 ‘역전의 기회’이자, 효율성과 비용절감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해법”이라고 말했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 위원장은 “최근 검색증강생성(RAG)이나 튜닝이라는 말이 쉽게 쓰인다”면서 “이런 오픈웨이트 모델들이 한국에서 잘 활용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되면 좋겠다. 그런 가능성을 정부도 열어놓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내 생성형 AI에 대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