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9일 국무회의를 열고 올해 2차 추경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2차 추경의 핵심은 민생 경기회복과 소비 진작을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다. 정부는 전 국민에 지역화폐 형태로 소득별 차등지급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지급방식은 일종의 기본금액을 전 국민에 먼저 지급한 후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상위 10%를 뺀 나머지 90%의 국민에게 추가금액을 차등해 얹어주는 2단계로 진행될 전망이다.
1차에선 차상위계층·한부모 가정엔 30만원, 기초생활수급자엔 40만원을 선별지급하되 이외의 국민엔 1인당 15만원을 준다. 2차에서는 건보료를 기준으로 소득 하위 90%에 10만원씩 추가로 지급한다. 최종적으로 차상위계층·한부모 가정은 총 40만원, 기초생활수급자는 총 50만원을 받게 된다.
정부가 보편 지원에서 차등 지급으로 무게추를 옮긴 건 ‘재정 여력’ 등을 고려해서라는 평가다. 올해 국세수입 예산은 382조 4000억원으로 지난해 세수 실적(336조 5000억원)보다 약 45조 9000억원 많지만 올해도 미국발 통상전쟁 등으로 세수 결손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민생 경제를 위해 저소득층 지원에 힘을 더 쏟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지난 9일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2차 회의에서 “취약계층, 소상공인 등의 지원을 우선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고소득자에게까지 동일한 지원을 하는 건 ‘선심성 현금 살포’란 비판도 영향을 미친 걸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당이 제동을 걸면서 지원 내용이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민주당은 이날 “보편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당의 입장”이라고 ‘차등 지급’엔 선을 그었다. 한민수 대변인은 “정부의 입장이 정해지면 당정협의를 거쳐 논의될 것”이라고 했다.
여당의 보편 지원 요구와 정부의 반대, 이 사이에서 정부 손을 들어주는 대통령의 모습은 이번에도 재현될 가능성이 크다. 2021년 당시 지원금 지급대상은 소득 하위 88%에서 이의신청을 반영해 소득 하위 90% 수준까지 확대됐는데, 이러한 선례를 이번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구상 때 참고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