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지영의 기자] 운용 자산만 26조원에 달하는 대체투자 ‘큰 손’ 신협중앙회가 최근 위탁운용사 선정 교체 작업에 나섰다. 주식을 비롯해 채권·파생·구조화 등 투자운용 전 부분 풀에서 운용사 교체가 이뤄졌다는 평가다.
 | 운용 자산만 26조원에 달하는 대체투자 ‘큰 손’ 신협중앙회가 최근 위탁운용사 선정 교체 작업에 나섰다. 신협중앙회 사옥.(사진=신협중앙회) |
|
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신협중앙회는 최근 위탁운용사 풀 재구성 작업을 마무리했다. 주식·채권·파생·구조화·헤지펀드 등 분야 전반에서 교체를 진행했다. 풀 선정 작업 마무리 후 최종적으로 포함된 위탁사 중에서 운용자금 위탁 계약 체결이 이뤄진다. 신협중앙회의 올해 운용 자산 규모는 약 26조원대다.
금리가 공격적으로 오르는 시기다 보니 신협중앙회의 위탁운용사 구성에도 금리 인상 대응 전략이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대비 특히 비중을 늘린 곳은 구조화·파생결합증권 운용 2개 부문이다. 관련 상품의 기대수익률이 높을 것으로 전망돼 신협중앙회도 운용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마진 증가가 예상되는 회원 조합·기업 등을 상대로 한 여신도 늘린다.
신협중앙회 관계자는 “올해 주식이나 채권 관련된 부분은 늘릴 계획이 없다. 특히 채권 시장이 너무 안 좋은 상황”이라며 “금리가 괜찮게 나오는 파생 증권들이 있을 거라 그 부분과 대체투자, 여신 쪽을 일부 늘리는 방향으로 풀을 꾸렸다”고 설명했다.
신협중앙회는 위탁운용사 풀 구성 기준에 정량평가 비중을 가장 높게 본다. 정량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정성평가도 일부 반영되지만, 기본적으로는 최근까지 달성한 운용 성과 및 안정적 조직 운영 현황 등에 방점을 둔다. 성과가 좋은 운용사들이 새로 추가됐고, 기존에 포함돼 있던 운용사 구조조정도 이뤄졌다. 특히 운용인력 이탈이 있었던 운용사들이 풀 구성에서 배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