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선포식을 축하하기 위해 정·관계 고위 인사들도 자리했는데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덕열 산업통상자원부 중견기업정책관 등에 불과했다. 세계프랜차이즈의 날 선포식이라는 의미 있는 자리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힘이 빠진 모습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VIP 참석자는 국회의원 1명, 국장급 공무원 1명 외에는 사무관급이 전부”라며 “현재 관심이 저조한 프랜차이즈 산업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세계프랜차이즈의 날 제정처럼 글로벌 시장에선 프랜차이즈 산업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국내의 분위기는 정반대인 상황이다. 프랜차이즈 산업에 대한 관심이 저조할뿐만 아니라 법·제도 규제를 통한 경영 환경 악화까지 걱정해야 할 처지다. 당장 집권여당인 민주당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했고,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공약이기도 한 가맹사업법 개정안이 업계를 가장 압박하고 있는 문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프랜차이즈 업계가 가맹사업법 개정안을 발의한 일부 민주당 의원들에게 다각도로 접촉하려고 했지만 전혀 반응이 없는 것으로 안다”며 “단체교섭권을 주장하는 전국가맹점주협의회가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내 협의회에 들어가 있어 업계 의견을 전달하기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차액가맹금 문제도 커지고 있다. 이강일 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25일 대표 발의한 가맹사법법 개정안을 보면 현 프랜차이즈 산업계의 차액가맹금 중심 수익모델의 개선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를 포함해 올해 들어 민주당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가맹사업법 개정안만 해도 3건이나 된다. 향후 프랜차이즈 업계에 대한 압박 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가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하는 등 K푸드의 세계화를 이끌고 있는 상황이지만, 정작 국내에선 산업 위축만 우려되는 환경이 계속되고 있다”며 “새 정부가 향후 프랜차이즈 산업 진흥을 위한 균형있는 시각도 보여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