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삼성전자의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와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두 곳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필요한 용수 공급 인프라 구축 계획이 본격화됐다.
 |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조성이 진행 중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공사현장 전경.(사진=용인시) |
|
21일 경기 용인시에 따르면 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의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 통합용수공급 사업 1단계’ 기본 및 실시설계를 시작했다. 이 사업은 오는 2034년까지 2조2000억원을 투입해 하루 107만2000톤의 용수를 용인의 두 곳에 조성 중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내용이다.
이번 1단계 사업은 팔당댐에서 용인까지 총 46.9㎞의 전용 관로와 가압장 1곳을 신설한다. 환경부는 2026년 11월까지 설계를 마치고, 2030년까지 공사를 진행해 2031년 1월부터 하루 31만톤(㎥) 규모의 용수를 공급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2단계 사업으로 2035년부터 하루 76만2000톤의 용수를 추가로 공급할 방침이다. 1단계와 2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면 두 곳의 산단에는 하루 107만2000톤의 용수가 공급된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환경부의 이번 용수 공급 계획은 용인에서 진행 중인 초대형 반도체 클러스터들의 성공적 가동을 위한 필수적인 사업으로 차질없이 진행돼야 한다”며 “시는 공사의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두 개 산단이 성공적으로 조성되면 용인은 단일도시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한민국의 반도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반도체 클러스터들에 대한 전력·용수 공급을 클러스터 가동 시점에 맞춰 적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도로·철도망의 클러스터 연결 등 교통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과감한 투자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