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최근 3년간 서울 초등학생의 우울과 불안감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튜브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접촉이 많아지고 1980년대생 부모의 과보호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 (사진=챗GPT 생성) |
|
19일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3차년도 결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초등학생의 우울감(3점 만점)은 1차 조사를 시작한 2021년 0.51점에서 2022년 0.66점, 2023년 0.73점으로 매년 상승했다.
이 연구에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113개, 중학교 98개, 고등학교 99개교가 참여했다. 초등학생 연구는 2021년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학생을 3년간 추적했다.
1점 만점인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불안 중 ‘과도한 걱정’은 2021년 0.44점에서 2022년 0.54점, 2023년 0.58점으로 올랐다. ‘예민함’은 0.41점→0.47점→0.49점, ‘부정적 정서’는 0.17점→0.24점→0.26점 등으로 모두 올랐다.
초등학생들의 우울과 불안 등 부정적인 감정이 증가한 이유는 △학업 및 교우관계 스트레스 △스마트폰 및 SNS 이용 시간 증가 △코로나19가 가져온 고립감과 경제적 어려움 △수면시간 감소 등이다.
특히 SNS를 통해 타인과 자신의 삶을 비교하며 박탈감을 느끼는 사례가 있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연구원은 “학생들은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등 SNS나 유튜브를 통해 간접적으로 타인의 삶을 경험하고 그들과 소통한다”며 “타인의 화려한 삶과 비교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기도 하며 자극적인 영상과 이야기가 영향을 주기도 한다”고 했다.
연구에 참여한 한 자문위원은 ‘80년대생 부모’의 과보호가 초등학생의 부정적 감정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위원은 “작은 좌절과 불안에 대해 지나치게 정서적으로 보호받고 지원받는 아동의 경우 오히려 불안 수준이 높고 작은 어려움에도 크게 좌절하게 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