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거리·서울=이데일리 김유성·황병서 기자]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정을 하루 앞당겨 조기 귀국했다. 서방 국가 정상들은 미국과의 관세 논의에 진전이 있기를 희망했으나 대부분은 별다른 구체적 성과는 없이 돌아가게 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도 무산됐다.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한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각)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로 향하는 공군 1호기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1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갑작스럽게 귀국하게 돼, 내일로 예정됐던 한미 정상회담은 열리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다자 외교 일정 중 돌발 상황은 간혹 있는 일”이라며 “이번엔 이스라엘과 이란의 군사적 충돌 우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은 백악관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됐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X(구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정세를 고려해 정상들과의 만찬 직후 귀국길에 오른다”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 계정에 올린 글에서 “휴전과는 관계가 없다”면서 “그것보다 훨씬 큰 것이 있다”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은 서방 국가들의 균열을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G7 정상들이 이스라엘과 무력충돌을 벌이고 있는 이란에 ‘긴장완화’(de-escalation)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한 게 유일한 성과다. G7 정상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회담을 통해 미국의 관세 위협을 제거할 수 있는 합의 도출을 위해 각국의 입장을 설명했다. 그러나 무역 협정 체결까지 간 국가는 영국이 유일했다.
한국 정상외교에도 불똥이 튀었다. 이번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릴 예정이던 한미 정상회담은 기약없이 미뤄지게 됐다.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에서는 방위비 분담, 관세율 등이 주요 의제로 거론될 전망이었다. 대통령실은 미국 측으로부터 사전 양해 요청을 받았다고 전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취임 12일 만에 첫 해외 순방에 나서며 정상외교 복원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날 남아프리카공화국·호주 정상과 잇따라 양자 회담을 열며 다자외교의 본격 출발을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