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 법인 정리가 완료되면 SK플래닛은 더이상 종속회사를 보유하지 않게 된다. SK플래닛은 그동안 경영효율화 차원에서 사업성이 부족한 자회사에 대해 구조조정을 진행해 왔다.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둔화하면서 SK플래닛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SK플래닛은 지난해 282억원의 손실을 내며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
실제 SK플래닛은 지난해 하반기 미국 커머스 사업을 총괄했던 SKPI를 청산한 데 이어 코인발행을 위해 세운 스코디스도 해산했다. 지난 2022년 11월에는 SKPI의 모기업인 SKP 아메리카(SKP America, LLC)도 청산한 바 있다. 글로벌 커머스 기업으로의 성장을 목표로 공격적으로 사세를 확장했던 SK플래닛의 행보를 감안하면 이 같은 변화는 상당한 대비를 이룬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4년 인수한 샵킥의 사례가 있다. 샵킥은 SK플래닛이 미국 커머스 사업을 위해 2014년 인수한 스타트업으로 과거 SKP 아메리카의 자회사로 있었다. SK플래닛이 샵킥 인수를 위해 SKP 아메리카에 출자한 투자금은 2664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당초 기대와 달리 샵킥은 지속적으로 손실을 냈고 SK플래닛의 발목을 잡았다.
SK플래닛은 해외 사업을 모두 정리한 만큼 당분간 OK캐쉬백을 비롯한 마케팅 플랫폼 사업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SK플래닛은 OK캐쉬백과 연계된 걷기 앱 서비스 ‘오락’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난 1월 아발란체 기반 가상자산 지갑 ‘업튼 스테이션’의 운영 인력을 OK캐쉬백 사업부로 이관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특히 SK플래닛이 지난해 그룹 내 투자통으로 통하는 유재욱 대표를 선임했다는 점에서 이같은 관측에 힘이 실린다. 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를 졸업한 유 대표는 지난 2003년 SK텔레콤에 입사해 미래전략팀 등에서 사업 전략을 주로 맡았다. 2016년부터는 SK㈜에서 베트남 투자 등을 담당했다.
SK플래닛 관계자는 “경영 효율화 차원에서 해외 종속회사에 대한 청산을 진행했다”며 “OK캐쉬백 등 마케팅 플랫폼 사업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