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19일 “3차 출석요구에 불응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신청 등에 대해 내란 특검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 측에 세 번째 소환요구를 했으나 윤 전 대통령 측은 응하지 않았다.
앞서 지난 17일 윤 전 대통령 측은 국가수사본부에 변호인 의견서와 윤 전 대통령의 진술서를 제출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범죄 혐의가 성립하지 않고 경찰의 출석 요구가 부당하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또 제3의 장소에서 진행하는 대면조사나 서면조사엔 협조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현재 윤 전 대통령에게 적용된 혐의는 특수공무집행방해 및 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교사 등 두 가지다.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경호처를 동원해 자신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막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7일 사령관 3명에 대한 비화폰 내역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것과 관련 대통령경호법 위반 교사 혐의로 추가 입건했다.
내란 특검은 특수단으로부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한 기록을 넘겨 받고 김 전 장관을 기소하는 등 초기부터 수사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은 특수단 수사관 31명을 특검에 파견하기로 협의를 마치고 파견 시기를 논의 중이다.
경찰은 특검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신병 처리와 향후 수사를 두고 협의하겠다는 방침이다.
특수단 관계자는 “김 전 장관 기록을 인계한 것 외 다른 사안에 대해선 협의 중”이라며 “여러가지 상황을 두고 특검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