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인데 경기는 갈수록 안 좋아지면서 회생법원을 찾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버티고 버티다 결국 법원을 찾는 기업들은 이미 한차례 타이밍을 놓친 셈이다. 선제적으로 대응할 기회를 날렸기 때문이다. 회생절차에 돌입해서도 재기할 기회를 제대로 못 잡는 경우가 많다. 회생기업 잠재 인수자들이 이것저것 까다롭게 따지면서 인수합병(M&A) 건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 탓이다.
인수자들은 즉각적인 턴어라운드가 가능한 기업보다는 기존 포트폴리오에 시너지를 줄 ‘볼트온(Bolt-on)’ 대상을 선호하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체 기업 인수보다는 영업부문 일부 양수도, 사업부문 분할 후 인수 등 부분 M&A를 통해 리스크를 분산하는 데 주력하는 분위기다.
단순히 자금을 지원해 스스로 알아서 회생하라는 형식적 도움보다는 초기 단계부터 M&A 성공을 위한 전략 설계에 공공자원을 전략적으로 투입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캠코가 민간과 협력해 회계와 법률자문을 패키지로 제공하는 식이다. 그래야 회생의 속도도 빨라지고 실효성도 생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