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006400), SK온, LG에너지솔루션(373220) 등 배터리 3사의 올해 1분기 시설투자 금액은 총 5조3372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6조9375억원에서 23% 줄어든 수치다.
|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3사 중 유일하게 시설투자 금액이 늘었다. 지난해 1분기 2조9075억원에서 올해 같은 기간 3조410억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증가 폭은 4.5%로 크지 않았다. 이 회사는 올해 전체 캐펙스를 전년 대비 30% 이상 축소한다는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1분기 R&D에 3075억원을 썼다. 지난해 같은 기간 2534억원에서 21.3% 증가했다. 같은 기간 SK온도 703억원에서 776억원으로 10% 늘었다. 삼성SDI는 지난해 1분기 대비 5.8% 늘린 3570억원을 기술 개발에 투입했다.
배터리 3사는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성장동력이 될 차세대 제품을 개발해 중국과의 격차를 좁힌다는 계획이다. 삼성SDI는 2027년을,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각각 2030년 전후를 양산 목표 시점으로 잡고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아울러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보급형 배터리 R&D에도 힘쓰는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제너럴모터스(GM)과 협업해 리튬망간리치(LMR) 각형 배터리셀을 개발하고 2028년 내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LMR 배터리는 비싼 코발트와 니켈 대신 저렴한 망간을 많이 사용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삼성SDI와 SK온도 코발트가 없는 ‘코발트 프리’ 배터리를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