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분형 모기지는 무주택자가 주택을 살 때 정책금융기관인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공동투자자로 참여해 주택 일부 지분을 사주는 제도다. 대출과 자기자본만으로는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청년층이나 서민에게 진입 문턱을 낮춰주는 구조로 금융위는 이를 통해 가계부채를 직접 늘리지 않고 실수요를 지원할 수 있다고 강조해 왔다.
하지만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시장 기류가 급변했다. 특히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내달 시행할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강화 전 대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며 정책 효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맷값이 빠르게 반등하는 가운데 정부가 매입 자금을 보조해주는 지분형 모기지가 ‘추가 자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재원 조달도 걸림돌이다. 주금공이 직접 지분을 매입하는 구조인 만큼 상당한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 정부 예산 외에도 채권 발행이나 정책금융기관 출자 등 다양한 방식을 두고 실무 논의를 진행 중이지만 올해 국가재정운용계획 기조가 ‘비재정 사업 축소’에 초점이 맞춰진 만큼 우선순위에서 밀릴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 내부에서도 “정책이 집값 상승기와 맞물리면 결과적으로 주택자산 가격만 떠받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경계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따라 지분형 모기지는 당분간 정책 우선순위에서 제외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가 직접 매입 자금을 일부 지원하는 구조 자체가 소비자에게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는 신호로 비칠 수 있다”며 “이 제도가 자칫 부동산 가격을 떠받치는 역할로 전락하면 정책 명분도 흔들릴 것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