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기자재 관련주인 한화엔진(082740)의 보유 비중을 줄인 게 눈에 띈다. 국민연금은 한화엔진의 보유 지분 비율을 11.65%에서 10.97%로 0.68%포인트 축소했다. 물류 사업을 영위하는 LX인터내셔널(001120)의 보유 비중도 10.07%에서 9.67%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국민연금은 조선 및 해운·물류 관련 종목이 트럼프 수혜 기대감에 단기 급등하자 보유 비중을 낮춘 것으로 해석된다. 조선주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 조선업체와 협력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국내 해운업 역시 미국이 중국 선사와 선박 관련 해상운송 서비스에 수수료 부과를 검토한다는 소식에 반사 수혜 기대감이 제기된 바 있다.
이현지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초부터 중국 시장 개방에 힘이 실리며 엔터 섹터에 우호적인 외부 환경이 조성됐지만 시점이 불투명해지며 관련 기대감이 소멸됐다”면서도 “여전히 중국 시장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한 만큼 중국 시장 개방 시 공연에서 업사이드가 가장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민연금은 아모레퍼시픽(090430)의 보유 비중도 6.4%에서 7.42%로 1.02%포인트 늘렸다. 국내 화장품 업체 역시 북미 시장으로 판로를 확대하며 관세 부과 우려가 제기됐지만, 증권가에선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아울러 국민연금은 국내에서 택배 사업을 영위, 관세 리스크가 작은 CJ대한통운(000120)의 보유 비중도 11.02%에서 11.54%로 0.52%포인트 늘렸다.
이외에 한국은행은 연내 1~2회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시사한 가운데, 국민연금은 금리 인하가 호재로 작용하는 종목의 비중도 확대했다. 삼성증권(016360)(12.61→13.41%), HDC현대산업개발(294870)(11.82→12.59%) 등 증권 및 건설주들은 금리가 인하되면 시장 활성화로 수혜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