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지난달 30일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부장검사 박건욱)는 윤 전 대통령 부부 서초동 사저 아크로비스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서울고검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검사 최재훈)가 불기소 처분한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 사건 재기수사를 결정한 건 지난달 25일이다.
김 여사는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등과 공모해 지난 2010년 1월~2011년 3월 증권계좌 6개를 갖고 조작에 가담했다(자본시장법 위반 등)는 혐의를 받고 있다.
서울고검은 확보한 김 여사의 휴대전화에 주가 조작 가담·인지 정황이 담겨 있는지 등을 살펴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사건이 발생한 지 오랜 시간이 흐른 만큼 유의미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편 지난해 10월 17일 최 부장검사가 김 여사를 대상으로 한 차례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한 적 있고 법원에서 기각됐다고 설명했으나, 이튿날 국회에 출석한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이 코바나콘텐츠 관련 사건에 대해 영장을 청구한 적 있다며 이를 부인하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해당 논란은 이 지검장과 조상원 4차장검사, 최 부장검사에 대한 탄핵심판 쟁점으로도 불거졌으나, 지난 3월 헌법재판소는 세 명에 대해 8대 0 만장일치 기각 결정했다.
다만 헌재는 주범들의 시세조정에 김 여사 명의 증권계좌들이 활용된 사실이 형사재판을 통해 확인됐다며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적절히 수사를 했거나 수사를 지휘·감독했는지 다소 의문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