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종전 수정 전망과 같은 것으로 미국 신정부 정책변화와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하면서 경제성장을 가로막는 요인이 많아 보다 적극적인 건전재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
당시 약식 보고서를 통해서도 올해 한국경제가 2.0%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이번 역시 같은 전망을 내놨다. 12·3 비상계엄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을 고려했지만 구체적인 경제지표가 아직 나오지 않아 경제 성장률 전망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기재부 관계자는 “비상계엄과 탄핵이라는 정치적 불확실성을 고려했지만 그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나오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이번 전망에선 반영이 안됐다”며 “탄핵정국 등 하방 리스크를 포함한 전망은 오는 4월에 발표한다는 것이 IMF의 입장”이라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한국경제는 반도체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1.4% 성장에 그친 전년에 비해 회복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또한 작년 2.4%를 기록한 인플레이션은 점차 안정화돼 올해는 물가안정목표(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 4.2%(GDP 대비) 수준으로 확대됐던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소비 회복에 따른 수입 증가 영향 등으로 올해는 3.6%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정치적 불확실성 장기화는 투자·소비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금융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책 대응 방향에 대해선 점진적 통화정책 정상화, 건전재정 기조 지속과 함께 구조개혁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령화에 따른 미래 지출 압력 대응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건전재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다만 하방 리스크 현실화로 성장이 둔화하고 목표 수준 이하의 물가 하락 발생시 보다 완화적인 통화정책과 취약계층에 대한 추가 재정 지원이 고려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중소기업·서비스 부문 규제 개선 및 인공지능(AI) 활용 확대를 통한 생산성 제고를 강조하면서 연금개혁, 재정준칙 도입, 세입 확충, 지출 효율화 및 기후 변화 대응 노력 강화 등을 조언했다.
한편 IMF는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외부 충격에 충분히 대응 가능한 수준이라고 분석했고 최근 확대(GDP 대비 43.9%)된 순대외금융자산(NIIP)도 대외 건전성을 지지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