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동 순방 첫 일정으로 사우디 수도 리야드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정상회담을 갖고, 사우디의 60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및 수출, 안보 협력을 골자로 한 ‘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 협정의 핵심은 돈과 무기다.
이 가운데 1420억달러는 미국산 무기 구매 계약이다. 공군·우주력 강화, 미사일 방어, 해양·국경 안보, 지상군 현대화 및 통신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이 포함됐다. 또 미국은 사우디 군대 훈련도 지원하기로 했다. 오랜 기간 미국의 국방기술 협력을 원했던 사우디의 바람이 실현된 것이다.
민간 부문에서도 대규모 투자 협력이 발표됐다. 사우디 기업 데이터볼트는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며, 구글·오라클·우버 등과 함께 총 800억 달러 규모의 첨단기술 공동투자 계획도 내놨다. 엔비디아와 AMD는 사우디의 AI 기업 ‘휴메인’(Humain)에 대규모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용 반도체를 공급한다. 우선 1만8000개 이상의 블랙웰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이날 CNBC가 보도했다. 휴메인은 총 100억달러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및 AI 팩토리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으로, 사우디판 인공지능 실크로드가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사우디는 트럼프 대통령을 추켜 세우고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면서 자국이 중동 지역의 안정적 질서 재편을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노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진 연설에서 “영원한 적은 없다”며 즉석에서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를 선언했다. 이 조치는 사우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도 직접 밝혔다. 시리아 제재 해제는 ‘이란-시리아-헤즈볼라’ 삼각축을 견제하기 위한 사우디의 숙원이었다는 점에서, 미국과 사우디간 실리적 맞교환의 성격이 짙다.
시리아는 지난해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이 축출된 뒤 새 정부가 들어섰으며, 과거 알카에다 연계설을 부인해왔다. 미국은 새 지도부의 성향이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제재를 유지해왔지만, 이번 조치로 시리아의 국제사회 복귀 가능성도 열렸다. 트럼프는 “내일 아흐메드 알 샤라 시리아 대통령과 인사를 나눌 것”이라며 관계 정상화 신호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이란과도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핵협상 복원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란은 핵 프로그램을 해체하라는 미국의 요구에 대한 대안으로 지역 아랍 국가와 미국의 투자가 참여하는 공동 핵 농축 벤처를 설립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
트럼프의 이번 메시지는 이란과 시리아에 강경했던 이스라엘과 일정한 거리를 두는 행보이기도 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란 핵 합의 복원에도 강하게 반대하고 있으며, 시리아의 국제사회 복귀에도 반감을 보여왔다. 하지만 트럼프는 이번 중동 순방에서 이스라엘을 아예 방문 대상에서 제외했고, 이란·시리아 문제에서도 독자노선을 택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도 이스라엘을 제외한 채 휴전 협상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인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념에 집착하기보다는 이익에 훨씬 더 관심이 많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스라엘과의 관계는 완전히 좋아질 수도 나빠질 수도 있고 이란 문제도 지금 단계에서는 완전히 유턴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