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젠스타메이트가 발간한 ‘2024년 호텔 시장 리포트’에 따르면 작년 거래된 서울 소재 호텔은 14개 동으로 거래 규모가 약 1조9662억원에 이르렀다.
이는 1년 전인 지난 2023년(4036억원) 대비 390% 증가한 수치로, 2021~2022년 거래규모인 2조원에 근접한 수치다.
|
성급별로는 △5성급 1조1450억원 △4성급 4324억원 △3성급 2213억원으로 집계됐다. 티마크그랜드호텔 명동(2282억원), 신라스테이 광화문 등 4성급 이하 호텔들도 활발히 거래됐다.
호텔 거래시장이 이처럼 회복된 것은 호텔 운영실적이 뚜렷하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서울 객실 가동률은 전체 성급에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작년 11월 기준 5성급 75%, 4성급 81%, 3성급 86% 등 모든 성급에서 70%를 넘어섰다. 코로나19 직후 40%대를 기록했던 2020~2021년과 비교해 크게 상승했다.
젠스타메이트 관계자는 “작년 방한한 외래관광객 수가 1637만명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하면서 운영실적이 개선됐다”며 “한강 치맥, 배달음식, 카페 투어 등 한국인의 일상을 체험하는 ‘데일리케이션’ 트렌드와 K-컬처에 대한 관심 확산으로 체류형·경험 중심의 여행 수요가 늘어나면서 호텔업계에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호텔 자산이 연이어 매물로 나오면서 매물 누적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젠스타메이트 관계자는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남대문,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서울 명동 등 서울 지역과 판교 지역 호텔들도 상당수 시장에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며 “외국계 투자자 중심의 호텔 투자심리 회복에도 현재 시장 내 자금 유동성 부족으로 시장에 나온 매물을 모두 소화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