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지난해 4분기는 771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이는 퇴직충당부채와 희망퇴직보상금 등 일회성 비용 1895억원이 반영된 탓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4분기의 경우 통상임금 판결로 회계상 대규모 비용 등이 일시 반영돼 표면상 영업손실을 기록했다”면서 “이를 제외하면 사실상 1124억원의 흑자를 달성한 것”이라고 밝혔다.
정유경 회장이 이끄는 신세계 상황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신세계의 연결 영업이익은 1061억원에 그쳤다. 전년동기대비 999억원이나 급감한 수치다. 계엄·탄핵 정국과 겨울까지 이어진 늦더위가 주 원인이지만 353억원의 통상임금 관련 충당금이 반영된 영향이 뼈아팠다.
현대백화점 역시 통상임금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4분기 연결 영업이익이 전년 동월 대비 12.4% 증가한 1079억원을 거뒀다. 다만 지난해 연결 영업이익은 2842억원으로 전년대비 6.4% 감소했다. 이 역시 통상임금 부담금 125억원을 반영한 실적이다.
이커머스 1위 쿠팡도 통상임금 적용 여파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쿠팡이 통상임금 부담금을 이번 실적에 적용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이는 반영 시점의 문제일 뿐 수백억원의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것은 변함없다.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현재 쿠팡과 물류 자회사 직고용 인력은 8만명을 넘어선 상태다.
특히 유통기업에 통상임금 여파는 더 크게 나타난다. 고용 인력이 많고 주말과 연장 근무가 많아서다.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대표적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쇼핑의 근무자는 1만 9289명이다. 이마트의 연결 기준 종업원 수는 약 5만 8500명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유통업은 오프라인 매장은 물론 물류센터까지 고용 인력이 많은 산업군”이라며 “인건비에 대한 정책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이어 “불경기와 맞물려 인건비 절감이 올해 유통 업계의 최대 화두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