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정부는 우리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고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기 위해 트럼프 정부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구축하고 대외 정책공간을 넓히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추가적인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상호 관세 등 앞으로 있을 수 있는 미국 행정부의 추가적인 조치에 대해서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미국의 ‘관세 폭탄’에 각국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와의 소통 채널을 구축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미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고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과 나렌드라 모디 총리도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한다.
우리 정부 역시 대통령실과 외교부를 중심으로 미국 측에 최 대행과 트럼프 대통령 간 통화를 수차례 요청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 20일이 됐는데도 미국 측은 큰 소통 의지를 보이고 있지 않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도 지난주 마이크 월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하며 한·미 정상급 통화를 제안했으나 즉답을 듣지 못한 걸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통상이나 북핵 문제 등에서 한국이 배제되는 ‘코리아 패싱’ 우려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김흥규 아주대 교수는 “트럼프 입장에선 대표성이 부족한 대행체제를 만날 유인이 부족하다”며 “외교력·협상력을 봤을 때 굳이 고위급 양자 대화에 매달리기 보다는 우리와 입장이 비슷한 나라들과 함께 공동 대응하는 게 차선책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