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대통령 집무실과 참모들 업무 공간인 여민관, 경호처, 지하 벙커 등 개방되지 않은 곳은 상대적으로 보안 조치가 덜해 정비에는 한 달에서 석 달 정도가 소요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하 벙커에 대해 윤 의원은 “엄청나게 시스템이 복잡하고 대한민국의 주요 상황들을 다 관할할 수 있는 곳”이라며 “윤 전 대통령이 용산 이전을 급작스럽게 추진하며 용산에도 지하 벙커가 필요했는데, 주요 설비를 못 구하니 청와대 지하 벙커를 뜯어서 갔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청와대 지하 벙커를 구축하는 데에는 한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이에 따라 새로 지하벙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서 위기관리센터를 이원화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향후 이 대통령 부부가 머물 거주지에 대해서는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지냈던) 한남동 관저는 교통 통제와 헬기 착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서도 가면 안 된다. 저라면 너무 많이 공개된 청와대 관저가 아닌 다른 곳으로 이사할 것 같다”면서 “문재인 정부 때도 장기적으로는 관저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그 동선을 개방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청와대 복귀를 위한 예비비 안건이 이날 국무회의에서 상정·의결되면서 그 규모는 259억 원 정도로 측정됐다.
이날 강유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번 예비비는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집행될 예정”이라며 “업체 선정 과정과 사무실 배치 등에서도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는 업무시간이 아닌 주말과 휴일을 활용해 이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현행 청와대 관람 방식은 7월 14일까지 유지됐다가 8월 1일부터는 보안과 안전 점검을 위해 관람이 일시 중단된다. 대통령 집무실이 완전히 이전된 후 관람이 재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