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정통한 소식통 두 명을 인용해 시 주석이 오는 28일 베이징에서 글로벌기업 CEO들과 회동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시 주석과 글로벌 CEO들의 회동은 미국의 대(對)중 관세 조치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최소화하고, 투자 감소 속에서 외국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중국 정부의 전략적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번 만남은 지난 23~24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국발전포럼(CDF) 이후 이뤄지는 것이다. 시 주석은 글로벌 CEO들과 회동 자리에서 중국의 대외개방 의지를 직접 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주석은 지난해에도 CDF 이틀 뒤 포럼에 참가했던 미국 기업 CEO들 및 학계 인사들과 만난 적이 있다. 당시 시 주석은 “미국을 포함한 각국 기업에 더 넓은 발전 공간을 제공할 것”이라며 직접 투자 유치에 나섰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 주석이 올해도 CDF에 참가하는 글로벌 기업 CEO 가운데 약 20명과 28일께 만날 계획으로 참석자 명단을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이처럼 글로벌 기업과 소통을 늘리는 배경엔 외국인 직접투자(FDI)의 급격한 감소가 있다. 작년 기준 FDI는 전년 대비 27.1% 감소했으며,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 다변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생산 거점을 중국 외 지역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또 중국 내 컨설팅 및 기업조사 기관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도 일부 외국 기업들의 경계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로이터는 “테슬라와 BYD, 샤오미 등 중국 기업들에 시장 점유율을 일부 빼앗기고 있음에도 중국은 여전히 BMW, 메르세데스, 폭스바겐을 비롯한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최대 시장 중 하나로 남아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3일부터 수입차에 대한 새로운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이후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중국 시장은 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을 전망”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