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이날 비공개 의원총회를 열고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가 제시한 ‘2월 퇴진 후 4월 대선’ 또는 ‘3월 퇴진 후 5월 대선’ 등을 골자로 한 퇴진 로드맵에 대한 의원들의 의견을 교환했다.
국민의힘은 2차 탄핵안 표결이 예고된 오는 14일 본회의 이전에 퇴진 로드맵을 완성해 발표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내부에서 의견을 조율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내년 4~5월 대선안이 너무 이르다는 일부 여당들의 의견에 “국민들의 분노가 커지기 전 신속한 퇴진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이미 미국에서 현 상황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고도 설명했다. 그는 미국으로부터 북한의 도발사태가 있을 경우 윤 대통령에게 연락해야 하는지,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연락해야 할지 질문을 받았다면서 결국 군 통수권자인 윤 대통령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 대표는 김용현 전 국방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청구됐으니 윤 대통령 역시 법적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일부 의원들은 2~3월 하야 방안을 현실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와 이 경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민주당 대선후보로 나설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부정적인 의견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은 11일에도 의원총회를 열어 관련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은 2차 탄핵안 표결 하루 전날인 오는 13일을 당내 단일 안 도출의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오는 12일 열리는 원내대표 경선 결과에 따라 퇴진 로드맵에 대한 논의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는 각각 친윤계, 친한계로 분류되는 권성동(5선), 김태호(4선) 의원 두 명이 출사표를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