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 사모펀드(PEF) JKL파트너스가 보유한 롯데손해보험(롯데손보)의 매각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무게가 더해지고 있다. 당초 금융당국과의 갈등 국면 속에서도 매각을 병행 추진해왔으나, 최근 900억원 규모 후순위채 콜옵션 행사마저 막히면서 시장 내 신뢰도에 타격을 입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
결국 콜옵션 불발로 인해 롯데손보의 재무 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고, 이는 곧 매각가 산정과 자금조달 환경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이번 콜옵션 이슈는 롯데손보가 사모펀드 지배구조 하에서 자본 확충에 제약이 있다는 점을 여실히 드러낸 사례로 해석된다.
당초 JKL은 롯데손보 매각가로 약 2조~3조원대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유력 인수 후보로 거론됐던 우리금융지주도 예비입찰에는 참여했으나, 최종 본입찰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매각 가격이 현실성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한 업계 관계자는 “롯데손보의 실적이나 시장 지위에 비해 너무 과한 밸류에이션이었다”고 지적했다.
금융지주 등 전략적 투자자(SI)들의 인수 의지가 꺾인 또 다른 이유는 자본 여력과 수익성 때문이다. 최근 금융지주들은 자본규제 강화와 주주환원 정책을 병행하며, 비핵심 사업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를 낮추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롯데손보처럼 손해율이 높은 보험업 포트폴리오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실제 일반적인 사모펀드의 엑시트 사이클은 4~5년 수준이지만, JKL의 롯데손보 보유 기간은 이미 이를 초과한 상태다. 펀드 만기 구조를 고려할 때 연내 일정 수준의 자금 회수가 필요한 상황으로, 업계에선 “가격을 낮춰서라도 매각을 마무리하려는 시도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롯데손보 사례는 단순한 딜 하나의 성패를 넘어, 사모펀드의 금융사 인수 구조 자체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있다. 특히 금감원과의 규제 충돌, 자본확충 어려움, 장기 보유시 생기는 구조적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PEF의 금융업 투자모델이 한계에 도달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