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산하 연구기관, 메가존클라우드를 비롯한 디지털 기업이 양자기술 산업화를 촉진을 위한 정부 정책 수립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 오승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이 1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가넷스위트룸에서 열린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 출범식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
|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산업부 산하 3개 연구기관과 한국양자산업협회는 11일 서울 명동 롯데호텔에서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 출범식을 열고 양자기술 산업화에 필요한 정책 논의에 착수했다.
양자기술은 에너지 최소 단위인 양자(Quantum)의 물리학적 특성을 이용한 차세대 정보기술이다. 아직 상용화 이전의 초기 연구 단계이지만 초고속 컴퓨팅이나 암호 통신, 신약 개발, 기후변화 예측 능력을 대폭 향상시켜 우리 삶을 크게 바꿀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포럼은 앞으로 양자기술 산업화에 필요한 정부 정책을 개발하는 역할을 한다. 정부의 산업 연구개발(R&D) 과제를 기획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공공 시험·인증 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앞으로 양자기술 관련 기업들과 함께 양자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할 실질적 방안을 논의하고, 이에 필요한 정부 연구개발 과제를 개발한다. 인프라 확충, 인력양성 등을 아우르는 정책의 기본 틀도 논의한다.
이날 포럼에선 이준구 카이스트 교수가 양자기술 전반과 산업화 전략을 발표하고 김동호 메가존클라우드 부사장이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산업계 활용 방향을 제시했다. 박경덕 연세대 교수는 양자 알고리즘·소프트웨어 응용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단기 적용 가능한 분야와 장기 투자가 필요한 분야를 구분하는 맞춤형 R&D 전략과 양자 기술을 실증할 플랫폼 구축을 중점 논의했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R&D와 제도 정비를 통해 양자기술을 꿈이 아닌 현실이 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