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저축은행 업계의 민간 중금리 신용대출(사잇돌2 대출 제외) 취급액은 2조 867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조 1967억원) 대비 139.6% 급증했다. 저축은행 업계의 중금리 대출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증세가 나타났다. 지난해 2분기의 증가율은 전년 동기 28.9% 수준이었지만 3분기에 72.9% 증가했고 4분기에는 2배 이상 치솟았다.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 잔액이 늘어난 이유는 기준금리 인하가 꼽힌다. 지난 2023년 저축은행들은 중금리 대출 공급을 크게 줄였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따른 건전성 악화와 고금리가 지속으로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대출을 걸어 잠근 결과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2023년에는 부동산 PF 부실화가 발생하면서 건전성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자 중금리 대출 취급이 평년보다 급격히 줄어든 측면이 있다”며 “건전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안정화하는 추세라 이전보다 대출 취급 여력을 개선했고 그에 따라 중금리 대출 취급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 중금리 대출 인센티브 확대 추진
금감원은 올해 저축은행·상호금융업권의 예대율 산정 시 민간 중금리 대출 취급액을 일부 차감하는 등 인센티브 확대 방안을 추진한다. 저축은행 업권의 예대율은 100%(유예 조치에 따라 현재 105%) 규제를 받고 있다. 예대율 100%란 전체 대출금이 예·적금 등 전체 예수금보다 커지지 못한다는 의미다. 고객이 맡긴 예금이 100억원이라면 100억원 넘게 대출할 수 없다. 그러나 중금리 대출에 대해선 비율을 완화하는 방안을 거론하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서민금융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업계에서도 전반적으로 대출공급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예대율 인센티브 방안까지 마련하면 저축은행 업권 전반에서 중금리 대출 활성화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