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AI 행동 정상회의’가 이틀 일정으로 개막됐다. 이번 파리 AI 행동 정상회의는 2023년 런던, 2024년 서울에 이어 열린 세 번째 AI 정상회의로, 미국, 중국, 프랑스, 독일, 유럽연합(EU), 한국, 인도 등 80개국 이상이 참여했다.
|
AI 정상회의는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을 개발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세계 주요 국가와 AI 기업들이 합의안을 마련하는 자리이지만, 이번 파리 정상회의에서는 AI 기술 혁신과 투자 확대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았다.
하지만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첫날 행사 클로징 무대에 올라 “유럽 AI 산업이 번성할 수 있도록 유럽연합(EU)은 규제 완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유럽은 AI 레이스(경쟁)에 복귀했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AI 프로젝트에 적용될 규제 완화 조치가 데이터 센터 구축, AI 제품 출시 승인,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 등에 적용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AI G3를 목표하는 우리나라도 이번 AI 정상회의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한국 대표로 참석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10일 ‘지속가능한 AI 생태계 구축 세션’ 패널로 참석해 “한국 정부는 공공 데이터와 컴퓨팅 자원을 AI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가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정부와 민간이 함께 에너지 효율적인 AI 반도체를 구현해,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서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AI 기업 대표로는 네이버가 나섰다. 최수연 네이버(NAVER(035420))대표는 11일 ‘지속가능한 AI의 미래’를 주제로 한 전체 총회 두 번째 세션에 패널로 연단에 올라 네이버가 AI 기술을 통해 열어가는 디지털 생태계의 다양성 확장과 창작자와 이용자, 판매자들을 위한 비전을 소개했다. 해당 세션은 안토니오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페테리 오르포 핀란드 총리, 파티 비롤 국제 에너지기구 사무총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의 순서로 발표가 진행됐다. 각국 정상과 정부 대표단, 학계, AI 업계 리더 등 약 3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션 패널로 초청받은 기업인은 최 대표와 순다르 피차이 알파벳 CEO 등 두 명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