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24일 한미 재무·통상 수장이 워싱턴DC에서 ‘2+2 통상협의’를 진행하고 양국의 기재부와 재무부가 별도로 환율 관련 논의를 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최 차관보는 당시 ‘2+2’ 통상협의‘에 배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 5일 대면으로 만나 실무 협의를 한 것이 맞다”면서 “시장 운영의 원칙에 대해 상호 이해를 공유하고, 향후 의제에 대해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상호·품목별 관세 폐지를 위한 ‘줄라이 패키지’와 같이 할지, 별개로 할건지는 모르겠다”며 “상대(미국)가 있어서 협의 내용은 철저하게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는 상호관세 조치 유예가 종료되는 오는 7월 8일 전까지 4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한 패키지(7월 패키지)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2+2 통상협의‘ 이후 양국은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 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실무 협상을 이어갈 계획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도 오후 3시30분 100.869에서 오후 5시 8분 기준 100.422까지 크게 하락했다.
시장에선 이번 협의가 미국의 원화 절상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미 재무부는 다음 달 환율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 내역, 경상수지 흑자 비중, 대미 무역흑자 수준 등을 평가할 예정이다. 한국은 지난해 11월 보고서에서도 대미 무역흑자와 경상수지 흑자 기준치를 충족하면서 관찰대상국 리스트에 포함돼 다음 달에도 관찰대상국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인위적인 원화절상 요구 가능성은 낮다는 입장이다.
환율을 인위적으로 절상하면 과거 ‘플라자합의’ 때 일본처럼 수출경쟁력 약화, 장기침체 등을 겪을 수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내외 금융시장 여건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필요시 시장 안정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