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13일 홈페이지에 호남 지역에서 새로이 확보한 336메가와트(㎿) 규모 전력계통 접속 여유용량 입지를 공개하고, 이달 28일 자정부터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의 계통접속 허가 신청을 선착순 방식으로 받는다.
|
호남 지역의 재작년 평균 부하는 6.2기가와트(GW)인데 같은 해 상업운전 중인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는 11GW에 이른다. 이 와중에 2031년까지 총 32GW 규모의 발전사업 허가 물량이 대기 중이다. 한전으로선 무려 43GW 규모의 발전 설비를 소화할 수 있는 전력망 확충 부담을 안고 있는 셈이다.
전력 당국은 이 같은 지역 전력망 포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수도권 등 전력 다소비 지역을 잇는 장거리 전력망을 확충할 계획이지만, 송전철탑·변전소 같은 전력설비가 들어서는 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반발이 날로 커지며 사업 추진 속도는 갈수록 더뎌지고 있다. 개별 전력망 확충 사업 기간은 통상 9년으로 잡는데, 최근 들어선 평균 4년 이상씩 지연되고 있다.
한전은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지난해 하반기 전국적으로 발전사업을 하겠다며 전력계통 접속 신청만 해놓고, 실제로 사업을 추진하지 않은 허수 사업자를 가리는 작업을 진행했다. 또 이를 통해 호남 지역에서만 336㎿의 신규 사업자가 접속 가능한 여유 용량을 확보했다.
산업부는 현재 전력 과잉공급 우려 상황 땐 출력제어(계통접속 일시 차단)를 할 수 있다는 전제를 달거나, 계통안정화 설비를 갖추는 조건으로 신규 접속을 허용하는 제도를 통해 신규 발전사업자의 선택 폭을 넓혀둔 상황이다. 또 송전망 건설과 병행해 신규 접속 허가를 내주되, 송전망 건설 지연 땐 출력제어를 할 수도 있다는 조건부 접속허가 제도 신설도 추진 중이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한정된 전력망 여건 속에서도 재생에너지 보급을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전력망 건설 대안기술(NWAs) 활용도 확대할 계획”이라며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 등 전력망 확충을 위한 제도 기반도 차질없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