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교권 추락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심화하는 가운데 교사의 관상과 궁합을 보는 사이트까지 등장했다.
 | 담임 선생님과 아이 사진을 보내면 자칭 ‘학운 전문가’가 관상풀이를 해주는 식이다. (사진=YTN 캡처) |
|
15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온라인에는 교사의 사진을 확보해 관상을 보고 학생과 궁합을 봐주는 커뮤니티가 성행하고 있다.
한 커뮤니티는 현재 회원 수만 5000명이 넘는다. 교사 사진과 자녀 사진 각 1장씩 전송하면 자칭 ‘학운 전문가’로 불리는 커뮤니티 운영자가 관상 풀이를 한다. 이를테면 “자기 고집, 아집이 강하다. 선생님이 수용이 크지 않고 잣대가 강하다”는 식이다. 비용은 1회 당 2만~5만 원 선이다.
과학적 근거는 없으며 추락한 교권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단편적 사례다.
14일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이 스승의 날을 맞아 지난달 23일부터 5월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825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교사 56.0%가 보호자에게 교권침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 23.3%가 교권침해로 정신과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절반 이상(58.0%)은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했다고 답했다.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한 이유(복수응답 가능)로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77.5%)을 1순위로 꼽았다. ‘낮은 급여’(57.6%), ‘과도한 업무’(27.2%)가 뒤를 이었다.
같은 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가 발표한 전국 교사 25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교사 근무환경 실태조사에서도 교권 침해로부터 보호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한다는 교사가 무려 81%에 이르렀다. 교사의 56%는 ‘정서·행동 위기 학생에 대한 과도한 책임을 교사가 홀로 지고 있다’고 답했다.
 | 담임 선생님과 아이 사진을 보내면 자칭 ‘학운 전문가’가 관상풀이를 해주는 식이다. (사진=YTN 캡처) |
|
2년 전 서이초 사건 발생 이후 ‘교권 보호 5법(교권 5법)’ 등 제도가 마련되기는 했지만 악성 민원 등으로부터 교사를 보호하는 데엔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교육 현장에선 제도의 현장 안착을 위해선 제도를 뒷받침할 수 있는 행·재정적 지원 등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교사들은 다가오는 대선을 앞두고 차기 대통령에 ‘교권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주문하고 있다. 교총이 유·초·중·고·대학 교원 55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0.3%(2814명)가 차기 대통령의 소통과 통합 능력이 중요하다고 답하며 23.6%가 ‘교권 보호·보장’이 23.6%이 최우선 과제로 시행돼야 한다고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