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승인 심사를 앞둔 종합편성채널의 재방비율이 여전히 높다. 2012년 국정감사 당시 60%에 육박했다가 최근 50% 아래로 떨어졌다. 방송통신위원회는 7일 종합편성채널의 2016년 재승인 조건 이행 여부를 점검한 결과 “사업계획상의 재방비율과 외주제작 편성비율(매반기 전체 방송시간의 35%이상)은 이행했다”고 평가했으나 재심사를 앞두고 일시적인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문제는 과거 콘텐츠를 재방송하는 과정에서 별다른 재편집 과정을 거치지 않아 의도치 않게 사실과 다른 내용이 전파를 타는 경우가 늘어났다. 특정 콘텐츠는 재방 혹은 삼방을 넘어 열 번 넘게 다시 방송되기도 한다. 개국 초기부터 문제가 된 오보 및 막말, 편파 방송에 대한 심의조치건수가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관련 콘텐츠가 계속해서 방송으로 노출되고 있다는 뜻이다.
방송통신위원회 역시 종합편성채널의 2016년도 콘텐츠 투자액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투자계획 이행률은 채널A 88.6%(투자액 739억 원), TV조선 88%(576억 원), MBN 72.1%(551억 원), JTBC 63.8%(1337억 원)다. 4사 모두 3년 동안 콘텐츠 투자계획을 지키지 않아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과 과징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방통위는 지난 종편 재승인 심사 때 재승인 조건으로 △방송의 공적책임 및 공정성 확보 △사업계획상의 콘텐츠 투자계획 이행 △방송프로그램 재방비율 이행 △외주제작 비율(35%) 준수를 의무로 부과했다. 종합편성채널은 올해 3월 승인기간이 만료된다. TV조선, JTBC, 채널A 등 종편 3사에 대한 재승인 심사는 2월 중 진행한다. MBN의 경우 6개월가량이 남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종합편성채널 4사에 대해 공정하고 투명하게 재허가 및 재승인 심사를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