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초심으로'…재도약·통산 상금 1000만달러 돌파 준비 마친 임성재

  • 등록 2021-04-29 오전 6:00:11

    수정 2021-04-29 오후 5:51:45

임성재. (사진=AFPBBNews)
[이데일리 스타in 임정우 기자] 임성재(23)가 ‘초심’이라는 단어를 가슴에 새겼다. 명실상부한 한국 남자골프의 에이스인 임성재가 쫓는 초심의 시기는 2018년이다. 그는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진출을 목표로 콘페리 투어에 도전했던 당시의 마음가짐을 찾기 위해 각오를 다잡았다.

임성재는 29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2018년은 가장 자신 있게 골프를 쳤던 시기”라며 “앞만 보고 달리던 그때의 감정을 다시 한 번 느끼고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 위해 연습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8년은 임성재에게 잊을 수 없는 한해였다. PGA 투어 출전권을 따내고 콘페리 투어 상금왕과 올해의 선수상, 신인상을 모두 거머쥐었기 때문이다. 임성재는 PGA 투어에서도 지난 2년 6개월간 맹활약을 펼쳐 왔다. 혼다 클래식에서 PGA 투어 첫 우승을 차지한 임성재는 마스터스 준우승, 2시즌 연속 투어 챔피언십 출전 명단 등재 등 한국을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했다.

올 시즌 성적도 나쁘지 않다. 임성재는 21개 대회에서 톱10에 3번 이름을 올리며 페덱스컵 랭킹 24위를 달리고 있다. 그러나 임성재는 최근 자신의 플레이에 100%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그는 성적에 대한 부담감으로 자신 있게 샷과 퍼트를 하지 못하는 걸 깨닫고 변화를 선택했다.

그는 “PGA 투어에서 활약하기 전과 비교해 실력이 확실히 늘었지만 최근 아쉬운 플레이가 많았다”며 “2018년처럼 자신 있게 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민 끝에 PGA 투어 진출을 목표로 패기가 넘쳤던 2018년의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결론을 내렸다”며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면 뭐든지 이룰 수 있다’는 말을 다시 한 번 가슴에 품었다. 남은 시즌 한 단계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덧붙였다.

임성재는 29일(한국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플로리다주 팜하버의 이니스브룩 리조트 코퍼헤드 코스(파71)에서 열리는 PGA 투어 발스파 챔피언십(총상금 690만달러)에서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지난주 취리히 클래식에서 컷 탈락했던 임성재는 이번 대회에서 올 시즌 4번째 톱10에 도전한다.

그는 “2018~2019시즌 이 대회에서 공동 4위를 차지한 좋은 기억을 살려 다시 한 번 상위권 진입을 노려보겠다”며 “내가 좋아하는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대회인 만큼 발스파 챔피언십이 기대된다. 난도 높은 코스를 정복할 수 있도록 한 타, 한 타 최선을 다해 치겠다”고 강조했다.

방송조인 피처드 그룹에 편성된 임성재는 첫날과 둘째 날 빅토르 호블란(노르웨이), 맥스 호마(미국)와 함께 1, 2라운드를 치른다. 그는 “호블란과 나이 차이가 1살밖에 안나고 PGA 투어에 데뷔한 시기가 비슷해서 그런지 꼭 한 번 함께 쳐보고 싶었다”며 “이번 대회 방송 조에 이름을 올린 만큼 팬들에게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임성재는 PGA 투어 통산 상금 1000만달러를 돌파하겠다는 각오도 전했다. 임성재는 이번 대회 전까지 995만7274달러를 획득하며 1000만달러 돌파까지 4만2726달러를 남겨뒀다. 그는 “RBC 헤리티지와 취리히 클래식에서 1000만달러 고지에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목표를 아직까지 달성하지 못했다”며 “이번 대회에서는 반드시 1000만달러를 돌파하고 싶다. PGA 투어 1000만달러 클럽에 이름을 올린 한국인 4번째 선수가 될 수 있도록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임성재. (사진=AFPBBNews)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