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김혜수가 넷플릭스 ‘소년심판’에서 판사로 소년 법정에 서며 깨진 편견이 무엇이었는지 묻자 답한 대목이다.
지난 25일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소년심판’(감독 홍종찬)은 소년범을 혐오하는 판사 심은석이 지방법원 소년부에 새로 부임하며 마주하는 소년범죄, 그들을 둘러싼 이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소년범죄와 소년범, 그들의 사건을 다루는 판사들의 고충을 담았다.
주인공 심은석 역으로 활약한 김혜수는 최근 취재진과 화상인터뷰를 통해 “이 작품 출연 전 사회적인 이슈를 모은 사건들의 재판에 참관 신청을 한 적이 종종 있었지만 법정은 여전히 낯설고 거리감있는 세계였다”며 “‘소년심판’을 연기하며 내가 갖고 있던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 그저 감정에만 머무른 게 아닌지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고 촬영 과정을 회고했다.
법정으로 불려와 판사의 심리를 받는 ‘소년심판’ 속 소년범들의 범죄는 결코 가볍지 않다. 절도와 폭행, 성매매 알선, 성착취, 강간, 살인 등 어른들의 세상에서도 끔찍한 각종 강력범죄를 저지르지만, 반성으로 이어지진 않는다. 김혜수가 열연한 ‘소년심판’ 속 심은석 판사는 그런 소년범을 누구보다 혐오한다. 어린 나이에 ‘감히’ 범죄를 저지른 소년범들에게 심은석은 법복을 입고 두 눈을 부릅뜬 채 “보여줘야죠, 법이란 게 얼마나 무서운지. 가르쳐야죠, 사람을 해하면 어떤 대가가 따르는지”라고 일갈한다.
그러나 제목처럼 그들을 ‘심판’하거나 ‘단죄’하는데 끝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진가는 빛을 발한다. 이 아이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감히’ 범죄를 저지르는 소년범이 됐는지, 소년범들의 부모는 어떤 사람이며 이들의 비행이 계속되는 동안 국가와 어른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면밀히 들여다본다. 소년범죄를 다루는 판사이지만, 자신조차 소년범죄의 피해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심은석’의 시선을 통해서 말이다. 우리에겐 아이들을 비난하기 전에 우리 사회의 어른들은 소년범죄를 막기 위한 노력을 얼마나 했을지 성찰할 계기를 마련한다.
김혜수는 “극적인 재미를 위해 꾸며 쓰지 않으며 어디에도 치우지지 않은 채 소년범죄가 지닌 다면적인 면모와 이를 향한 사회적 인식을 조명하려 한 작가의 고뇌가 느껴졌다”며 “보편적인 사회문제를 다룬 이 작품이 전 세계로 통용돼 함께 고민할 계기가 마련됐으면 했다”며 작품에 출연해 세계에 선보인 소감을 전했다.
심은석 판사는 씻을 수 없는 과거의 상처를 겪어 소년범을 혐오하지만, 법관으로서 누구보다 냉철하고도 치열한 시각으로 소년범죄 사건의 외면과 내막, 가해자를 길러낸 환경까지 톺아본다.
|
캐릭터 연구 과정에 대해선 “실제 법관들을 만나 뵙고 재판을 참관하면서 심은석의 대사가 단지 극적인 대사로 끝나지 않음을 알게 됐다”며 “심은석을 비롯한 네 명의 소년법정 판사들의 이야기는 실제 판사들이 하는 말이다. 작가님이 얼마나 오랜 취재 끝에 균형감을 예민하게 신경쓰며 다룬 작품인지 알 수 있었다. 나 역시 캐릭터를 준비하며 더욱 이를 느꼈다”고 떠올렸다.
캐릭터를 위한 별도 준비나 애드리브 대신 대본상의 대사를 하나도 놓치지 않고 제대로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고도 설명했다. 그는 다만 “심은석이 재판 당시 피해자들의 사진을 앞에 두고 심리를 하는 모습은 제가 감독님께 의견을 드려 만들어진 장면이었다”며 “오늘의 판결을 통해 피해자는 억울함이 해소됐는지, 가해자는 반성했는지 등 대사로 담지 못할 메시지를 한 눈에 보여줄 수 있는 장면이라고 생각했다”고 부연했다.
현장에 출근해 촬영하는 과정부터 잠 들기 직전까지 캐릭터를 놓지 않았던 김혜수에게도 힘든 지점은 있었다. 그는 극 중 가정폭력의 피해자인 소년범 서유리(심달기 분)를 다룬 심은석과 차태주 판사(김무열 분)의 신경전을 다룬 장면을 꼽으며 “가해자인 아버지를 향한 분노로 소년범을 대하려는 차태주 판사의 따뜻한 시선이 옳다고 볼 수 없었지만, 자꾸 무열 씨의 감정에 이입돼 동화가 됐다”고 고백했다. 사람 김혜수로서 판사 심은석의 흔들림 없는 스탠스를 유지하기 쉽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소년범을 혐오하는’ 심은석의 극 중 설정에 대한 솔직한 생각도 덧붙였다. 김혜수는 “이례적이고도 강렬한 슬로건인 건 맞다”면서도 “소년범죄를 혐오하지만, 말미로 갈수록 개인의 상처를 넘어 법관으로서 법에 대해 지니고 있던 선입견과 시선, 의미 등 심은석을 관통한 ‘법관으로서의 책임’을 상기시킬 수 있는 설정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소년심판’을 통해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도 바뀌었다고도 털어놨다. 그는 “현상을 단순히 감정적으로만 바라봤던 과거의 관점과 인식이 변했다”며 “작품의 공동 목표이기도 하지만, ‘소년심판’이 던진 화두가 잠깐 흘러가는 화제로 끝나선 안되며, 어른으로서 이 문제에 지속적 관심을 가지려면 노력과 책임이 따라야 한다는 점을 깨달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