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에서는 아직 정부의 증시 활성화 정책이 지속하고 있고, 증권사들도 자체적인 주주 가치 제고 노력을 이어가고 있어 주가 반등 기회가 남아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
배당락일은 배당기준일이 지나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진 날을 의미한다. 국내 증권 시장에서 배당을 받기 위해선 실제 주식이 입고되는 시점을 고려해 배당기준일 2거래일 전엔 주식을 매수해야 하므로 보통 배당락일은 배당기준일의 1거래일 전이 된다. 배당락일엔 통상 배당 수익을 노리고 매수에 나선 투자자들이 빠져나가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기존엔 국내 상장사 대부분이 12월 결산법인으로 배당기준일이 모두 12월 말이어서 배당락일도 같았다. 그러나 지난해 금융당국이 ‘선(先) 배당액 확정, 후(後) 기준일 지정’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며 일부 증권사들이 배당기준일을 3~4월로 변경했고, 이에 배당락일도 바뀌며 최근 증권주의 주가가 요동쳤다.
다행인 것은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 남아 있다는 점이다. 배당주인 증권 관련 종목들이 밸류업을 타고 주가를 회복할 수 있다는 전망도 여전전하다.
미래에셋증권은 앞으로 3년간 조정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의 35% 이상을 자사주 소각과 배당 등 주주 환원 재원으로 활용할 예정이고, NH투자증권은 2800억원 규모의 현금배당과 500억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공시했다. 키움증권(039490)은 3년간 기취득한 자사주를 소각하면서 2025년까지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주주환원률 30% 이상을 유지한다는 게 목표다.
또 정부가 증시 활성화에 관심을 쏟고 있다는 점도 증권 종목의 강세를 점치는 요인이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증권사들의 실적에 부동산 PF와 해외 부동산 펀드 손상·충당금 부담이 꾸준히 영향을 미치겠으나 주가는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반응할 것”이라며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식시장의 강세 기조가 나타나는 상황도 증권 종목에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