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별 일평균 대차 잔고를 살펴보면 올해 1월 68조원 수준에서 3월 70조원대를 돌파한 데 이어 4~5월에는 72조원 수준을 넘어섰다. 이후 6월 68조원으로 감소해 9월 65조원 수준까지 내렸지만, 10월부터 다시 증가했다. 시작해 3개월 연속 순증한 셈이다.
이처럼 대차잔고가 늘어난다고 해서 늘어나는 모든 물량이 공매도에 쓰이진 않지만, 증시 투자자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다. 올해 대세 하락장에 진입하기 직전인 지난해 12월 말에도 대차잔고는 80조원대까지 폭증한 바 있다. 이는 지난 2018년 수준으로, 당시 코스피 역시 한 해동안 17.28% 하락했다.
실제로 월별 코스피 지수 등락률을 살펴보면 대차잔고가 늘어나던 시기인 4월과 5월 각각 2%, 0.3% 하락하더니 잔고가 감소세로 돌아서기 시작한 6월에는 13.1% 급락했다. 이어 지난 9월에는 12.8% 하락했고 이달 들어서는 3.21% 하락했다.
대차거래 잔고 상위 종목은 대부분 국내 대형 주식들이었다. 지난 6일 기준 대차거래 잔고 기준 상위 종목 1위는 삼성전자(005930)로 8조626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LG에너지솔루션(373220)이 2조8503억원 △KODEX200(1조8329억원) △삼성SDI(006400)(1조8162억원) △셀트리온(068270)(1조8017억원) △SK하이닉스(000660)(1조7170억원) △LG화학(051910)(1조7074억원) △현대차(005380)(1조3709억원) △NAVER(035420)(1조3461억원) △카카오뱅크(323410)(1조2095억원) 순이었다.
한편 빌려온 주식이 늘어가는 가운데 시장 변동성은 커질 전망이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증시 변동성이 확대됐지만 긍정적인 점은 시장이 이전만큼 과민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며 “과거 경험상 증시 저점은 연방준비제도의 전향적인 태도 전환이 나올 때였다”고 짚었다.